정보화현황 (2020.1. 기준)
1. 비전
정보화 미션
추진 목표
|
2. 조직
주요 정보화 추진 기관 및 담당 분야
정보화 예산
정보화 인력
※ 휴직 5, 교육파견 1 포함
정보화본부 위치
|
3. 2020년 현황
정보시스템
행정정보시스템
- 프로그램: 단위 업무 553개, 메뉴 3,506개
- 유지보수: 6,037건 (기능 추가 195, 수정,보완,기타 5,842)
전자문서시스템
- 996,488건 문서 생성
- 통합행정, 연구행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의사결정용 문서 생성(768,476건)
메일시스템
- 224,288개 이메일 계정, 61.4TB 서비스 용량
포털시스템
- 이용자 수 : 142,549
- 46기관 103개 서비스 SSO(Single Sign-On) 연계
홈페이지
- 1,439개 학내 홈페이지(SNUPAL* 이용 홈페이지 102개 포함)
※ SNUPAL : 홈페이지 구축플랫폼
도서관 학술정보시스템(중앙도서관 운영)
- 2,248,152건 서지 데이터베이스 보유
- 16,872건 전자도서관 디지털 콘텐츠 구축
이러닝(e-learning 시스템,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)
- eTL(e-Teaching & Learning)시스템 15,232개 강좌 중 8,405개 활용 (55% 활용)
- SNUON(SNU Open educatioN) 21,134회 수강신청 건수 (학생 15,990, 교수 170, 직원 284, 기타 4,690)
정보기반
캠퍼스전산망
- 138,492m 광케이블(119,819m Single-Mode, 18,673m Multi Mode) 학내 유선 223개동 연결
- 10Gbps 인터넷 대역폭(KT 5Gbps, LG U+ 4Gbps, SK 브로드밴드 1Gbps)
- 10Gbps KREONET 첨단응용연구망
- 1Gbps KOREN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
- 6,484여개 무선 AP/194개동 건물 설치
- 1,721대 유선망 스위치(L3 33대, L2 1,688대)로 코어백본 및 외부연계, 권역, 층간 스위치연결, 대역폭 관리
- 64,512개 아이피, 4,743개 도메인 보유
시스템
- 총 635대 서버(물리 101대, 가상서버 534대 )
- 기간시스템 (통합행정, 연계, 통계정보, 게시판 등): 49대
- 포털시스템 (포털, 전자결재, ITSM): 36대
- 통합인증 (통합인증 WAS/DB): 11대
- 메일시스템 (메일관리, 스팸차단): 27대
- 가상화시스템 (서버 임대, 웹호스팅 홈페이지, VDI): 449대
- 백업 및 관제시스템 (시스템 성능 및 장애관리): 9대
- 타기관시스템(연구행정, eTL, 홍보팀, 총무과, 입학본부): 54대
호스팅
- 268개 기관 이용 (웹호스팅 191, 서버호스팅 115, 코로케이션 34개 기관)
- 461개 웹사이트 수용
- 714개 서버 수용 (서버호스팅 191건, 코로케이션 523건)
IT서비스센터 서비스 지원 건수
- 45,275건 IT서비스센터 상담 처리(전화 35,916건, 원격 3,568건, 게시물 2,026건, 내방 2,350건, 방문 1,415건)
정보화본부 PC 실습실
- 시설: 좌석 314석, PC 296대(일반 295, MAC 1), 프린터 10대, 스캐너 1대, 동영상편집장치 5대, 3D-Printer 3대
- 20시간 개방 (13:00 ~ 익일09:00) : I-Space(59석)
- 16시간 개방 (07:00 ~ 23:00): 강의실(70석), 정보검색실(179석)
- 3D프린터실 (예약제 운영) : 3D-Printer실(6석)
정보화본부 장비대여
- 보유수량 : 노트북 150대 (관악캠퍼스 135, 연건캠퍼스 15), 캠코더 2대 (관악캠퍼스 0, 연건캠퍼스 2)
SW 라이선스 현황
- 총 12종 캠퍼스 라이선스 제공(MS윈도우, MS오피스, 한컴오피스, Adobe, V3, SPSS, SAS, Matlab 등)
정보보안
- 1,143건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(바이러스, 해킹, 스팸메일, 개인정보 노출 등)
- PC 통합보안솔루션 배포
- 24종 50식의 보안 장비 운영
4. 주요 추진사업(정보화본부)
정보화기획발전 과제
- 모바일 앱을 활용한 보조배터리 공유서비스 학내 무상 제공
학내 정보화사업 지원
- 학내 개별 기관에서 정보화사업 추진 시 사업 지원 기준 마련
- 정보화사업 관리 표준 가이드 등 체계적인 지원을 통하여 정보화 거버넌스 강화
정보서비스 개선
인공지능기반 지능형 서비스 구축
- 학내 축적된 수업, 강의평가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교과목 검색 및 추천 서비스 구축
- IT서비스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화 서비스 관련 챗봇서비스 상담 업무범위 확대
- 수강신청 제도 변경(장바구니제 도입)에 따른 수강시스템 재구축
수기업무 온라인화 및 서비스 확대
- 외국인학생 장학업무, 서울대병원 진료비 지원 업무 등 수기처리업무 온라인화
- 각종 확인서, 이수증 등 증명서 양식을 기관별 직접등록 및 발급이 가능하도록 통합 증명발급시스템 구현
- 임대자산관리 및 입대료 징수 등 임대관리 기능 개선
- 기초교육원 글쓰기, 강의조교, 튜터링, 학생자율연구 관리시스템 등 학내 단위기관에 분산된 유사기능 정보시스템을 행정정보시스템으로 통합
데이터 기반 대학 운영 정보환경 제공
- 재무 경영정보 제공 기반 마련, 의사결정자를 위한 대시보드 기능 개선 등 통계정보시스템 개선
- 학내에 분산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과 기간계 정보시스템과의 데이터 연계 포털 구축
IT 장비 및 서비스 유지·운영
- 정보시스템 관련 HW 및 SW 총 373품목 유지보수 관리
- 서버관리, 행정정보시스템 운영, 캠퍼스망 관리, 보안관제, IT서비스센터 등 5종 용역관리
캠퍼스 라이선스 SW 구매
- 10종 SW 재계약 및 학내 구성원 보급
- 학내 구성원의 소프트웨어 저작권 인식 제고
인터넷 서비스 지원
- 학내 캠퍼스 인터넷 회선 계약 및 관리
- 인터넷(10Gbps) 및 캠퍼스간 전용(2.2Gbps) 회선 지원
사이버안전센터 운영
- 보안 전문업체를 통한 통합보안관제 연중 서비스 운영
- 정보보호시스템 모니터링, 보안시스템 정책 운영, 사이버침해 대응 훈련 등 정보보호시스템 최적 운영 및 관리
정보보안 활동 강화
-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 대상인 학사정보시스템 취약점 관리
- 전직원 대상 월례특강,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등 정보보호 역량강화활동 실시
- 주요 서버, 시스템 대상 모의해킹 및 사이버 침해 대응 훈련 실시
개인정보보호 강화
- 홈페이지 내 개인정보 노출점검 미 이행 기관 제재조치 강화
- 개인정보 보유 기관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여부 점검
- 웹 방화벽을 이용한 개인정보 노출 탐지 및 차단정책 운영
- PC 내 개인정보파일 대량 보유(500건 이상 보유 PC) 현황 집중 점검
인프라 고도화
- 노후 트래픽제어장비(QoS) 교체를 도입하여 원활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
- 방화벽, WAF(웹방화벽), 침입방지시스템(IPS) 등 노후 보안장비 교체하여 제조사 기술지원 보장 및 장애 예방을 통한 운영 안정성 확보
5. 주요 추진사업(그 외 기관)
교수학습개발센터
이러닝 체제 정착
- 강의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스튜디오, 기자재 관리
-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및 표현방법 개발을 위한 SNU 영상 아카데미 운영
- 온라인 강좌 및 플립러닝을 포함한 블렌디드 러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러닝 활용 강좌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운영
이러닝 IT 장비 및 서비스 유지·운영
- 학사행정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업관련 유사 동일 기능 통합
- 원격수업 활성화에 따른 출석 등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기능개선
- 강의 동영상 품질 및 재생(학습관리) 기능 개선
- 원격지 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수와 학생 간 실시간 영상, 음성, 문자를 전송하여 화상강의 수업 지원
중앙도서관
학술정보시스템 운영
- 사용자 맞춤형서비스, 한중일 검색 기능 개선 등 차세대 학술정보시스템 및 학술자원 통합검색 솔루션 운영 및 고도화
- 학술정보시스템, 출입관리, 좌석배정 등 이용자 지원 주요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관리
지식정보자원 플랫폼 구축
- S-Space에 누락된 학내연구자의 외부 게재된 논문의 공개를 허용하는 기능(Open Access)을 활용하여 학내 반입 가능한 체계 구축
- 학술정보시스템(Alma-D) 홈페이지 등에 산재해 있는 학술자원정보를 S-Space로 통합
- Alma-D에 수록되어 외부이용이 제한되었던 학내간행물 파일을 논문(Article) 단위로 재편집, 메타 데이터 생성 등을 통해 구글 스칼라 검색에 노출
스마트 미디어 센터 운영 기반 조성
- 증강현실(AR) 기반 스마트 글라스 등 신기술 기반 미디어 서비스 도입
- 창의 미디어 스페이스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추진
-
기획처
공간관리시스템 재구축
- 공간사용 현황, 공간 사용료 산출 등 공간관리 제반업무를 시스템화
- 공간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통한 강의실, 회의실, 체육시설 등 학내 통합 공간예약 시스템 구축
-
산학협력단
연구정보화
- 연구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기능 개선 추진 계속
- 연구비 관리 체계 혁신 추진을 위한 시스템 개선
- 행정정보, 중앙도서관 S-Space 등 시스템 간 연계 확대 추진